구글에서 2008년 12월 11일(현지시간)에 '크롬'이라는 브라우저의 정식버전을 발표했네요.

당췌~ 어디까지 손을 뻗일 것 인지…

정식버전에서는 비디오와 오디오의 플러그인이 개선되었다네요.

또한 'V8'이라는 자바스크립트 엔진 속도가 많이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러 탭을 사용하던 중에 그 중 한 탭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다운될 때,

오류가 발생된 탭만 죽는답니다. 즉, IE에서 처럼 브라우저 자체가 닫혀 버리는 불상사(?)는 없다는 군요.

호기심을 못 이겨서 다운받아 설치해 보았습니다.

[구글 크롬 다운로드]

1)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실행 해 보니, 다음과 같이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네요.

2) 다운로드가 끝나면, 설치 과정이 시작됩니다.

3) 설치가 완료 되었다는군요. ^^

4) 다소 생소한(?) 창이 하나 뜹니다. 이게 크롬의 실체입니다. ;;;

역시 구글 다운 인터페이스를 지닌 넘 이네요.

5) 새 탭을 열어보면, 이전에 다녀 갔었던 사이트를 보여줍니다.

6)주소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설정되어 있는 기본 검색사이트를 통해 검색이 이루어 지네요

이제 막 설치해서 사용해 보았지만, 기대가 되는 브라우저이네요.

이젠 IE를 버려도 될까요? ^^ㅋ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2008년 12월 12일 배달민족 -

기준

구분

기술자격 및 경험기준

학력 및 경험기준

기 술 사

  • 기술사
  • -

특급기술자

  • 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10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13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박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3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석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9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학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12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5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고급기술자

  • 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7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10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박사학위를 가진 자
  • 석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6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학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9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2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15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중급기술자

  • 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4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7년 이상 해당 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석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3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학사학위를 가진 자로서 6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9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12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초급기술자

  • 기사자격을 가진 자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
  • 석사학위를 가진 자
  • 학사학위를 가진 자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3년 이상 해당기술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기능사

고급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4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능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7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능대학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4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7년 이상 해당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직업훈련기관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서 7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능실기시험을 합격한 자로서 10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중급

  • 산업기사자격을 가진 자
  • 기능사자격을 가진 자로서 3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능대학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3년 이상 해당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직업훈련기관의 교육을 이수한 자로서 5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능실기시험을 합격한 자로서 5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 기타 10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초급

  • 기능사자격을 가진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 직업훈련기관의 교육을 이수한 자
  • 기능실기시험을 합격한 자
  • 기타 5년 이상 해당 기능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 자

 

비고 1. "소프트웨어기술자"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정보처리 분야의 기술자격을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자 및
소프트웨어기술을 가진 학력
경력 기술자로 구분한다.

가. "국가기술자격자"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정보처리 분야의 국가 기술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나. "학력경력기술자"란 정보처리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은 없으나, 소프트웨어기술을 가진 자로서
소프트웨어사업자로 신고한 업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에서 일정기간 동안 근무한 자를 말한다.

2. 국가기술자격 종목(정보처리 분야)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사무 자동화 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술사

3. 해당 기술(기능) 분야 업무 범위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7조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세부분야를 의미함

 [출처] 2007.10.30 개정된 소프트웨어 사업대가의 기준

    2009년 08월 01일 부터는 개정된 기준을 따른다고 합니다.
  다음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도개정] 기술등급 및 자격기준(신설 2008.08.07)
  http://www.sw.or.kr/pds/view.asp?masteridx=27&idx=4481
 

출처 : http://blog.naver.com/ugigi/70022494466

<일반 명령어>

calc : 계산기
charmap : 문자표
cleanmgr : 디스크정리
clipbrd :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 표시
cmd : 도스명령프롬프트 실행(단, 윈98은 command)
control : 제어판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dxdiag : 다이렉트X 진단도구 및

                 그래픽과 사운드의 세부정보를 보여줌
eudcedit :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explorer : 탐색기
magnify : 돋보기
mobsync : 동기화
msconfig : 시작프로그램 제어 등

msinfo32 : 시스템정보
mstsc : 원격 데스크톱 연결
netstat -na : 현재 열린포트와 TCP/IP 프로토콜정보를

                       보여줌, 열린포트로 트라이목마형 바이러스

                       침투 유무확인가능
notepad : 메모장
ntbackup : 백업 및 복원 마법사
osk : 화상키보드
pbrush 또는 mspaint : 그림판
ping [사이트주소] : 핑테스트
regedit : 레지스트리 편집기
sfc : 시스템 파일 검사기
            -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후 깨지거난 손실된 파일을

            원본 압축파일에서 찾아서 복원시켜줌 단, 윈2000에서

            는 cmd실행 후 sfc사용 - 마지막 설정된 값을 다음 윈

            도우부팅시 곧바로 실행됨[수정]
sndrec32 : 녹음기
sndvol32 : 시스템 사운드 등록정보,볼륨조절
sysedit : autoexec.bat, config.sys, win.ini, system.ini

                 시스템구성편집기
systray : 사운드 볼륨설정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트레이목록에 띄움
telnet open [사이트주소] : 텔넷접속명령어
tourstart : 윈도우 기능안내 html 문서표시
wab : 주소록
winipcfg :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보여줌.

                   단, 윈2000은 ipconfig로 변경됨
winmine : 지뢰찾기
winver : 윈도우 버전확인
wmplayer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wordpad : 워드패드
wscui.cpl : 보안센터
wupdmgr : 윈도우업데이트
 
<MSC 명령어>
certmgr.msc : 인증서 관리
ciadv.msc : 인덱싱 서비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frg.msc : 디스크 조각 모음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이벤트 로그)
fsmgmt.msc : 공유 폴더 (공유 폴더 관리)
gpedit.msc : 그룹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ntmsmgr.msc : Removable Storage
ntmsoprq.msc : 이동식 저장소 운영자 요청
perfmon.msc : 성능
rsop.msc : 정책의 결과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 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wmimgmt.msc : WMI 서비스 구성
comexp.msc : comexp 구성 요소 서비스
control userpasswords2 : 사용자 계정

출처 : Tong - mermaid_love님의 작업 통~통



1. 빠른 시작 메뉴 아이콘

Windows XP와 2000의 빠른 시작 메뉴 아이콘입니다. 기본은 16x16 픽셀이며 사용자가 ‘큰 아이콘’으로 지정하면32x32 픽셀이 됩니다.

예) Windows XP의 빠른 시작 메뉴 (32픽셀 크기와 16픽셀 크기)

예) Windows 2000의 빠른 시작 메뉴 (32픽셀 크기와 16픽셀 크기)


2. 기본 툴바 아이콘


아래는 XP의 브라우저(IE) 툴바 아이콘입니다. 기본은 24x24픽셀이며 사용자가 ‘작은 아이콘’으로 지정하면 16x16픽셀이 됩니다.

예) Windows XP의 브라우저 툴바 아이콘 (24픽셀 크기와 16픽셀 크기)


고로 XP/2000 겸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툴바에 들어갈 24x24픽셀 크기의 아이콘도 제작해주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16픽셀짜리 툴바 아이콘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미지를 단순화해야 하고, 그래서 사각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 XP에서는 hot(마우스를 가져갔을 때)과 default(보통때)의 두가지 상태 그래픽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대개 hot의 상태에서 약간 채도가 높아지도록 합니다. Hot 상태의 그래픽이 없다면 마우스를 가져가도 아무 변화가 없게 되죠(이 역시 없어도 상관은 없으며, 2000에서는 있어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IE나 시작 메뉴 줄 등 Windows에 기본으로 들어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외에 우리가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메인 툴바에 들어갈 아이콘 크기는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만드는 사람 맘입니다(사실은 개발자 맘인가? ). 대개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처럼 16x16 픽셀의 아이콘을 사용합니다만 아주 크게 만드는 경우도 있고 말이죠.
Xpyder V.1의 경우 모두 16x16 픽셀의 아이콘만을 사용했습니다.

예) Xpyder 이전 버전과 신 버전의 툴바 아이콘. 나중꺼는 크기를 엄청 줄였습니다.


툴바 아이콘 제작 방법은 보통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제작 방법과 비슷하지만 결과물을 bmp strip(아이콘이 주욱 이어진 하나의 bmp 파일)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하지만 이 역시 개발자 맘…이 아니라 개발 플랫폼에 따라 포맷이나 형태가 다를 수도 있다고 하니 먼저 개발자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제 Bmp strip을 만들어 봅니다.

  1. 새 레이어에 다음과 같이 16x16, 24X24 크기의 박스들을 그립니다.

  2. 16x16과 24x24 크기의 이미지들을 박스 안에 위치시킵니다.

    * 그림출처 : Windws XP 스타일가이드

  3. Hot 상태의 이미지 제작 : Level을 다음 그림과 같이 0.75로 조절해서 Hot 상태를 만듭니다(XP 스타일가이드에서 그러랬는데 꼭 그래야하는 건 아닙니다).

  4. 각각의 strip마다 다음과 같이 1개씩의 레이어가 있어야 합니다.
    • 24x24 크기의 default레이어
    • 24x24 크기의 hot 레이어
    • 16x16크기의 default레이어
    • 16x16크의 hot레이어
  5. 모든 레이어를 각각 32비트 psd 파일로 저장합니다.
  6. GMG로 끌어다 놓습니다. File > Export as > Filmstrip을 선택하고, 대화상자에서 BMP/DIB의 24-bit(with Alpha)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bmp strip 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Xpyder V.1의 경우, 툴바 아이콘은GMG를 거치지 않고 그냥 포토샵에서 바탕색을 마젠타로 한 후, 각각의 아이콘 그룹별로 하나의 8비트 bmp 파일로 묶어 개발자에게 넘겨주었습니다. 이 경우 각각의 아이콘이 16픽셀씩 정확히 떨어져 있도록 간격을 맞추어 주어야만 합니다.

예) Xpyder V.1.0에 쓰인 툴바와 기타 아이콘들

  • Main toolbar
  • Tree structure
  • RSS feed list
  • Browser toolbar

doc 파일로 다운로드



아이콘 제작 단계

1. Conceptualize


이제 아이콘을 스케치합니다. 아이콘을 디자인할 때 유의할 점들입니다(Windows XP 그래픽 스타일가이드 참조함).

  1. 가능한 한 사용자에게 익숙한 의미를 가진 컨셉들을 사용하여 혼동이 없도록 합니다.
  2. 전체 UI에서 어떻게 보일 것인지, 여러 아이콘들 중의 한 부분으로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고려합니다.
  3. 문화적인 상황을 고려합니다. 여러 문화권에서 쓰여야 할 경우, 글자, 단어, 손 모양, 얼굴 등을 넣지 않도록 합니다. 아이콘에 사람을 넣어야 할 경우 최대한 '사람이라는 것만 알 수 있게(general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4. 한 아이콘에 여러 사물들이 합쳐져 들어갈 경우, 사물의 수를 3개 이하로 합니다. 최소 크기인 16 X 16 픽셀 아이콘에서는 사물의 수를 더 줄이거나 이미지를 단순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 XP 기본 아이콘들

* 그림출처 : Windws XP 스타일가이드

예) XP 기본 툴바 아이콘들

* 그림출처 : Windws XP 스타일가이드

2. Illustrate


아이콘을 그립니다. 나중에 크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프리핸드나 일러스트레이터, 플래쉬 등의 벡터 도구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저는 주로 플래쉬에서 그립니다).

  1. 이미지를 48, 32, 16픽셀의 3가지 크기로 제작합니다. 나중에 드랍 쉐도우 필터를 사용할 것이므로 각각 2픽셀 정도씩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46x46, 30x30, 14x14). Windows 2000의 경우 알파 채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아예 드랍 쉐도우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버전도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2. 벡터 이미지를 복사해서 포토샵에 붙입니다.

3. 32비트 이미지 제작


이제 실제로 ico 파일에 붙일 이미지들을 포토샵 .psd로 만듭니다. 나중에 GMG(GIF Movie Gear)라는 프로그램을써서 .ico 파일을 만들게 되는데, 이 프로그램에서는 .psd로 해상도별, 색깔 수 별 각 이미지들을 불러올 수 있거든요.
자, 먼저 XP에서 나타날 32비트 이미지를 만듭니다.

  1. 3가지 크기의 이미지를 포토샵에 붙인 후 그래픽이 잘 보이는지, 특히 16x16 픽셀에서 제대로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잘 보이지 않는다면 포토샵에서 픽셀 단위의 수정을 하거나 다시 벡터 어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가서 그래픽을 더 단순화합니다.
  2. 이미지 레이어에 다음과 같이 드랍 쉐도우 필터를 적용합니다 (Windows XP 스타일가이드에서는 이렇게 권장하고 있으나 필수는 아닙니다).

  3. 새 레이어를 하나 만들고 현재 레이어와 합쳐서(Merge Visible) 드랍 쉐도우 필터를 이미지 레이어의 한 부분으로 합칩니다.
  4. 48, 32, 16 픽셀 크기의 psd 파일을 이런 방식으로 모두 만들어서 저장합니다. 배경은 투명하게 뚫려야 하므로 배경(background) 레이어를 삭제하고, 그림이 들어있는 하나의 레이어만 남깁니다.

4. 24비트 이하의 이미지 제작

24비트 이하의 디스플레이에서 보여질 아이콘 이미지들을 만듭니다. 24비트 이하는 알파채널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배경에서도 어색하지 않게 보이도록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경계선을 anti-aliase 없이 정리해주어야 합니다.

  • 24비트 레이어를 하나 더 복제하고, 새 레이어를 만들어 배경을 파란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채웁니다.
  • 복제된 레이어와 새 레이어를 merge합니다.
  • 경계선을 그림과 같이 정리합니다.
  • 흰색 배경에서도 경계선이 자연스러운지 확인합니다.

    * 그림출처 : Windws XP 스타일가이드

  • 각각 48, 32, 16 픽셀로 만들어 경계선을 또 정리해줍니다.
  • 이미지들을 커스텀 팔레트의 256 이하 컬러로 색 수를 줄입니다.
    1. 48X48 이미지의 배경을 아이콘에 잘 쓰이지 않는 색(예 : 마젠타 R255 G0 B255)으로 채웁니다(이 부분은 나중에 투명하게 처리될 부분입니다).
    2. Image > Mode > Indexed Color로 가서 Palette 부분에서 Custom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3. 파일을 psd로 저장합니다.
    4. 다른 두 크기의 아이콘 그래픽 역시 이런 식으로 저장합니다.

    Windows XP 이전 버전에서도 아이콘이 문제없이 보이도록 하려면 16컬러(4비트) 버전 역시 포함시켜야 합니다. 특히 Windows 2000의 트레이에 나타나는 아이콘은 무조건 16컬러(4비트)로 디더링되기 때문에, Windows 2000에서도 쓰일 어플리케이션이라면 16컬러 버전을 꼭 넣어주어야 합니다.

    1. 8비트 이미지를 다시 Windows 기본 16컬러(4비트) 팔레트로 색 수를 줄입니다. 이건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니죠. 게다가 그냥 indexed color가 아닌 '윈도우즈 기본' 16컬러란 말입니다...

      이것이 문제의 윈도우즈 기본 16 컬러!

    2. 16색으로 줄여놓고 보면 색이 많이 깨졌을 겁니다. 이제 하나하나 점을 찍어 이미지를 다시 재정비합니다(고된 픽셀작업... 픽셀작업에 관해서는 여기에 잘 나와있습니다.)
    3. 아래쪽과 오른쪽에 검은색의 아웃라인을 주고 왼쪽과 위쪽은 다크그레이나 다크 컬러의 아웃라인을 줍니다(Windows XP 스타일가이드에는 그렇게 나와있으나 필수는 아닙니다).
    4. 같은 배경색(마젠타)으로 3개 크기의 이미지를 제작합니다(마젠타 색 부분은 나중에 .ico 파일에 들어갈 때 투명하게 처리될 부분입니다).

    5. .ico 파일 만들기

    이렇게 해상도와 색깔 수별로 여러 개의 파일을 만들었는데, 다시 정리해보면 3개의 크기, 3개의 color depth를 지원하는 아이콘을 만들기 위해 다음 9가지의 파일이 필요합니다(3 곱하기 3은 9). 이중 꼭 필요한 것과 아닌 것들을 좀 추려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48x48 / 24 bit (필수)
    2. 32x32 / 24 bit (필수)
    3. 16x16 / 24 bit (필수…이지만 16픽셀인데 수만컬러 써봤자 별로 차이없음.)
    4. 48x48 / 8 bit (필수…이지만 XP를 뭐 256컬러에서 돌릴 사람은 없을 듯 -_-)
    5. 32x32 / 8 bit (필수)
    6. 16x16 / 8 bit (필수)
    7. 48x48 / 4 bit (글쎄… 별로 필요없는듯 -_-)
    8. 32x32 / 4 bit (글쎄… 별로 필요없는듯 -_-)
    9. 16x16 / 4 bit (필수. 2000에서 트레이에 들어가는 아이콘은 무조건 16컬러로 나옵니다)
    그러니까 대략 4~5개 정도의 이미지를 준비하면 된다는 것이죠. 이것들을 모두 하나의 psd 파일에 레이어로 구분해 놓아도 되고, 각각 다른 psd 파일로 저장해두어도 됩니다.
    그럼 이제 준비한 모든 이미지를 하나의 ico 파일로 만듭니다. 32비트 아이콘을 만들기 위해서는 Gif Movie Gear(GMG)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www.gamani.com/foricons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Gif Movie Gear 어플리케이션에서는 RGB 모드, 알파 채널이 포함된 포토샵(.psd) 파일의 레이어를 그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즉, 이미지나 레이어의 투명한 부분이 그대로 아이콘 파일에 적용됩니다.
    1. GMG를 열고 각각의 psd 파일을 끌어다놓습니다 (혹은 File > Insert Frames). 모두 하나의 psd 파일에 저장한 경우, 즉 psd 파일 안에 레이어가 여러 개일 嚥珥?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뜨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해준 후 ‘OK’를 누릅니다.

      꼭 이렇게 해야해욥!

    2. 각각의 psd 파일이 하나의 프레임(frame)이 됩니다. 이전에 말한 대로 다음과 같이 9개의 프레임이 있어야 하나… 없으면 없는 대로 갑니다. 각각의 프레임 위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크기, 투명한 부분이 있는지 여부, 비트수가 나타납니다.

    3. 8비트와 4비트 버전에서 배경을 뚫어주어야 합니다.
      프레임을 선택하고 툴바에서 dropper를 선택한 후 뚫릴 부분을 클릭!

    4. 아이콘으로 저장하려면 File > Save Icon As하여 ico 파일로 저장합니다.

  • [출처] ieframe.dll 관련오류|작성자 랑사



    IE7로 업그레이드 한후에 VB에서

    구성요소 "Microsoft Internet Controls" 을 사용하려고

    체크를하고 확인을 누르면

    "C:\Windows\system32\ieframe.dll\1 을 찾을수없습니다" 라는

    에러가 나오면서 사용할수 없게되는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첨부파일을 받으셔서 압축을 푸신후 system32 폴더에 넣습니다.

    이미 system32폴더에 같은 파일이 존재할경우에는

    구지 덮어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다음에 시작 - 실행에서 regsvr32 c:\windows\system32\shdocvw.dll /u

    을 입력한후에, regsvr32 c:\windows\system32\shdocvw.dll 을 입력하세요.

    마지막으로 비베로가서 구성 요소창에서 찾아보기 버튼을 이용해서

    shdocvw.dll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

    '[정보 창고]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에디터 사용법  (0) 2009.11.02
    Unix 기본명령어  (0) 2008.06.17
    LS 명령어  (0) 2008.06.17
    [VB-Tip] 실행파일(*.exe)만들기가 비활성화 되는 문제  (0) 2008.06.17
    홈페이지 제작관련 사이트 모음  (0) 2008.06.17


    [출처]
    [팁] 그래픽, 인터넷 캐쉬를 늘려서 인터넷 빠르게하기...|작성자 파스텔


    요즘  까페에 글을 보니깐 인터넷을 즐기는분들이 많아지면서

    속도나 케쉬에 대한 질문글이 많이 보이길래

    아는 한도내에서 간략하게 레지스트리 수정법을 적어봅니다...


    1. 그래픽 케쉬 늘리기


    인터넷을 비롯해서 프로그램 실행, 전환에 있어서 속도를 늘려줍니다...

    오버클럭하면 발라진다고 하지만 제가 해본경우 실행속도가 빨라짐을 못 느꼈습니다...

    이유는 그래픽케쉬를 먼저 늘려놨더니 크게 체감속도를 못 느끼겠고, 그리고 단점인 배터리 조루와

    기기 발열로 부담이 가더군요...

    전 ppc사용때부터 레지수정을 기기 받자마자 하는 케이스라 스마트폰도 가능한

    ppc의 레지팁을 활용합니다...


    서두가 느~어무 길었네요...ㅎㅎㅎ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전 레스코 레스트리 편집기를 씁니다]

    [HKLM] -> [System] -> [GDI] -> [GLYPHCACHE]로 들어가시면

    limit라는 레지키가 있습니다...

    01

    거기서 16진버인 헥사데시말로 체크하신후 10000에서 50000 사이에 값을 주시면됩니다...

    값이 정해진건 아니고 조금식 올려주시면됩니다...너무 많이 올리면 오히려 화면이 끊기거나

    버벅거림을 초래할수 있으니 이점 주의하세요...


    Done[예썰]을 눌러주시고 나와서 바로 셋팅메뉴로 들어가서 확인해보세요...

    이동버튼의 속도나 페이지 전환 속도를 확인하시면 빨라짐을 바로 느끼실겁니다...

    아니라고 하신다면.....던져버리세요...ㅋㅋㅋ...농담이신거 알죠..^^


    2.인터넷 컨텐츠서버 늘리기


    이건 좀 뭐라고 설명 드리긴 뭐하네요...그냥 컴에 버스선 늘리기? 아님 이미지를 끌어오는 수를 늘린다고

    쉽게 생각하시면됩니다...


    [HKCU]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Internet Setting]

    에 들어가시면 아래로 주욱 내리시면 MaxConnectionsPerServer 이란 항목이 있습니다...

    01


    그 키값이 기본 4로 되어 있을겁니다...

    그걸 8 또는 12로 늘려주세요.. 전 당근 12로 해줬습니다..무리하게 늘리지 마시길...

    그리고 당근 Done을 누르시고 백으로 나오시면됩니다...

    일반페이지 로딩시 조금 빨라집니다...이건 레지수정전에 다니던 웹페이지를 열어보시면

    바로 느끼실겁니다...^^


    3.인터넷 케쉬,히스토리,쿠키 저장위치 바꾸기...

    기본인터넷 캐쉬나 히스토리가 장치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언정도 차면

    인터넷이 늘려지거나 다운됩니다..뭐 전 그래본적이 없어서 모르지만 남들이 그렇다는군요....ㅎㅎㅎ

    그래서 계속 지워줘야하는 불편이 있습니다...간단하게 저장위치를 바꿔주시면됩니다...

    레지 편집기 실행에서

    [HKCU]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Sell Folder]

    01


    로 들어가시면 세게의 레지스트리 값이 있습니다..

    케쉬, 히스토리,쿠키에 가가 들어가신후

    Cache = \Storage card\Internet\Temporary Internet Files

    Cookies = \Storage card\Internet\Cookies

    History = \Storage card\Internet\History


    이렇게 대소문자 확인하시고 정확하게 기입해 주시면됩니다...

    Internet 폴더는 Temp나 등등 다른 이름으로 하셔도 됩니다...그리고

    지금 지정하신 루트에 즉,  스토리지 카드로 가셔서 Internet이란 폴더를 하나 만들어 주시면됩니다...


    나중에 청소하실때는 외부저장소에 저 인터넷 폴더안을 청소하시면됩니다...

    전 Sktools로 가끔 오토크린해줍니다...^^


    위에 세가지를 다 수정하셨다면 가뿐하게 리셋하시고,

    무한 인터넷을 즐기세요...뭐 그래봤자 블랙잭이겠지만유~....

     

    '[정보 창고]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기술자의 등급 및 자격기준  (0) 2008.12.11
    실행창 명령어 모음  (0) 2008.06.23
    정통부 표준24핀 커넥터 기능 배열표  (1) 2008.06.17
    YUV방식 & YIQ방식  (0) 2008.06.17
    YCBCr  (0) 2008.06.17

    정통부에서 표준을 정한 24핀콘넥터(TTA표준 콘넥터 또는 휴대폰 충전 콘넥터라면 잘아시겠죠)의

    핀 배치도및 기능설명표입니다.

    우리 PM80도 이 표준을 따르고 있으니까 알아두시면 튜닝에 도움될듯하여...

    자작 GPS같은걸 할때라든지 아님 시리얼 통신기기와 연결할때 참고하시구요

    참고로  RX,TX등의 RS-232통신단자들은 -9Volt 레벨이 아니고 TTL레벨입니다.

    (이해못하신분들은... 걍 패스 ㅋ)



    '[정보 창고]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창 명령어 모음  (0) 2008.06.23
    [블랙잭]그래픽, 인터넷 캐쉬를 늘려서 인터넷 빠르게하기  (0) 2008.06.18
    YUV방식 & YIQ방식  (0) 2008.06.17
    YCBCr  (0) 2008.06.17
    1X EVDO  (0) 2008.06.17
    기본적인 UNIX 명령어

    login: username 자신의 ID를 입력한다
    Password: ******** 암호를 입력한다

    % stty erase ^H 삭제키를 ^H로 지정한다
    % passwd 암호를 변경한다
    % logout 컴퓨터 사용을 종료한다 (또는 exit)

    % man 명령어 명령어를 문의한다
    % su newuser 다른 계정으로 나들이한다 (종료는 exit)
    % login newuser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df 디스크에 남은 용량을 본다
    % du subdirectory 점유한 용량을 본다
    % ps -ael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본다
    % kill -9 프로세스번호 프로세스를 중지시킨다
    % who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본다 (whodo)
    % talk 다른사람의ID 다른 사용자와 대화한다
    % mailx -f 내게온 전자우편을 본다
    % mailx -v username < filename 전자우편을 보낸다
    % script -a filename 화면 내용을 갈무리한다 (종료는 exit)

    % pwd 현재 디렉토리를 본다
    % cd subdirectory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 ls -aldF subdirectory 파일들의 목록을 본다
    % mv -ir file1 file2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한다
    % cp -ir file1 file2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 rm -ir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mkdir newdirectory 새 디렉토리를 만든다
    % rmdir olddirectory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chmod augo+-rwx files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보안을 변경한다
    % chown newowner files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주인을 변경한다
    % chgrp newgroup files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명을 변경한다

    % cat filename 파일의 내용을 본다
    % more filename 파일의 내용을 한 페이지씩 본다
    % head filename 파일의 앞부분을 본다
    % tail filename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본다
    % grep string files 파일의 내용을 검색한다
    % find / -name filename -print 파일의 위치를 찾는다

    % compress filename 파일을 압축한다
    % uncompress filename.Z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다
    % gzip filename 파일을 압축한다
    % gzip -d filename.gz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다
    % tar cvf tarfile dir 파일들을 묶는다
    % tar xvf tarfile 파일들을 풀어 놓는다

    % vi filename 파일의 내용을 편집한다
    % cc ex.c C 프로그램을 번역한다
    % f77 ex.f -lm Fortran 프로그램을 번역한다
    % csh batchfile 명령들을 일괄처리한다
    % history 지금까지의 지나간 명령들을 본다
    % !cmd cmd로 시작하는 명령을 다시 실행한다
    % !! 방금했던 명령을 또다시 실행한다

    출처 : Tong - wapman님의 컴퓨터/전기전자 관련통

    + Recent posts